수도권 복합환승센터 위치와 BTX에 따른 효과
광역통행 기본권 확보를 위한 인프라 확충에 따른 일환으로 미래 교통에 대비한 신개념 환승센터를 광역급행철도(GTX) 중심의 복합환승센터를 통해 수도권의 경우 BTX (BUS TRANSIT EXPRESS) 확대 계획이 발표되어 주요 간선도로에 고속 전용차로 확보 및 철도처럼 정시성과 대용량의 수송 능력을 갖춘 신개념 버스 서비스가 이루어집니다.
[ 목 차 ]
■ BTX 란
■ 도시고속도로 신개념 버스 서비스 BTX 노선 그리고 신규 BTR 노선
■ 광역교통 시행 안에 따른 수도권 환승센터 위치
■ BTX 란
BTX는 도시고속도로위에서 버스를 더 빠르게 달리게 하려고 만든 생각에서 출발하는 신개념 버스 서비스로 광역버스 등 대중교통을 이용해 광역권의 도시고속도로를 이용하여 보다 빠르게 그리고 정시성과 대량의 수송능력을 갖추고 Moveable barrier 방식의 역류 가변 중앙분리대를 활용하여 중앙분리대를 출퇴근 시간대에 맞추어 차선을 줄였다 넓혔다는 하는 기술인 Zipper Line을 도입하여 차선 하나를 급행 차선으로 활용하여 출퇴근 시간에 맞게 역동적으로 바꾸는 신개념 방식의 교통 서비스입니다.
이동형 중앙분리대를 통해 수도권내의 출퇴근 시간대가 꽉 막힌 도시고속도로를 zipper line 기술을 이용하여 차선 하나를 시간대에 맞추어 새롭게 광역버스 차선으로 만들어 원활한 운송이 가능해지도록 하는 것이 주요 골자입니다.
< BTX - zipper line 영상자료 출처 commons.wikimedia.org/wiki/File:Golden_Gate_Bridge_Moveable_Median_Barrier.webm >
기존 도로확장에 따른 비용의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더러 상황에 맞추어 차선을 늘리거나 줄이거나 하는 방식으로 교통거점에서 환승센터까지 고속간선도록를 따라 이동하는 급행 광역버스입니다.
강변북로 BTX 서비스가 도입되면 현재의 운행시간이 반 정도로 줄어들게 되며 올림픽대로의 경우에는 1/3 가량 단축될 전망으로 중간중간 거점지역의 환승센터와 함께 복합환승센터 구축으로 해당 환승센터 주변에 보다 많은 유동인구 유입에 따라 환승센터 주변으로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 도시고속도로 신개념 버스 서비스 BTX 노선 그리고 신규 BTR 노선
'22년부터는 강변북로와 올림픽대교 등의 도시고속도로에 신개념 버스 서비스인 BTX가 도입될 예정으로 교통수요에 따라 3기 신도시를 포함하여 BTX를 이용하여 서울 도심으로의 출퇴근 버스 통행시간 단축을 최소 30분 이상 절약할 수 있도록 할 예정으로 강변북로 2호선 강변역에서 경기 남양주 수석 나들목 구간을 시작으로 행주대로 남단 개화IC에서 지하철 2.9호선 당산역으로 이어지는 올림픽대로에도 BTX가 도입될 예정입니다.
- 강변북로 강변역 ~ 경기 남양주 수석나들목 (IC)
- 올림픽대로 행주대로 남단 개화 IC ~ 당산역
2023년 강변북로와 올림 피대 로위의 BTX 신개념 버스 서비스 가 도입되면 향후 현재의 BRT 수도권 광역 간선급행버스와 함께 더 좋은 효과를 이룰 것으로 보입니다.
- 성남 ~ 복정 광역 BTR (복정역 ~ 남한산성입구)
- 올림픽대로 광역 BRT (서부 BRT)(행주대로 ~ 당산역)
- 청량리 ~ 도농/평내 호평 광역 BRT(청량리 ~ 평내호평역)
- 강변북로 광역 BRT(동부 BTX) (수석 IC ~ 강변역)
- 계양. 대장 광역 BTR (계양 ~ 부천 종합운동장, 박촌역 ~ 김포공항역)
BRT 수도권 광역 간선급행버스 안의 BTX 신개념 버스 서비스를 통해 각 노선을 연결하는 환승센터와 복합환승센터를 통해 지역상권과 유동인구 증가에 따른 새로운 랜드마크로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도 가지게 됩니다.
■ 광역교통 시행 안에 따른 수도권 환승센터 위치
신개념 버스교통 서비스인 BTX와 함께 복합환승센터 조성으로 3시 신도시에 따른 향후 수도권 내로의 인구 이동에 따른 수송량과 유동인구의 증가와 함께 수송능력과 정시성을 향상할 수 있는 안을 제시하며 여기에 각 거점지역의 환승센터를 통해 보다 해당 센터 주변의 유동인구 증가에 따른 순기능의 효과로 보기 위해 환승센터를 조성하기로 하였습니다.
1. 환승센터 - 청량리역. 서울역. 양재역. 운정역. 동탄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의정부역. 덕정역. 부평역. 인천시청역. 인천대입구역. 초지역. 구리역. 아주대삼거리역
2. 복합환승센터 - 상봉역. 여의도역. 창동역. 용인역. 금정역. 대곡역. 인덕원역
해당 거점환승센터와 복합환승센터 조성에 따라 앞으로도 관련 광역교통망에 따른 인구이동 개선과 3시 신도시에서 수도권으로의 출퇴근 인구유입 등에 대한 다양한 교통정책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이며 해당 거점지역의 환승센터는 부동산과 관련한 인구이동에 따른 지가상승 또는 상권의 활성화도 더불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